-
액티브 퀀트의 정석(1)퀀트 2021. 10. 4. 02:58
KTB투자증권의 김경훈 애널리스트의 '액티브 퀀트의 정석'이라는 리포트를 이제야 발견했다. 내가 딱 바라던 퀀트 데이터를 활용한 능동적인 매수/매도 전략이 고스란히 녹아있었다. 분기 실적시즌마다 2~3번 발간되는 61페이지짜리 리포트를 지침서 새로운 전략을 운용 가능한지 검증해 보려 한다.
KTB 투자증권
ktb.co.kr
투자전략
1. 매분기 말일 액티브 퀀트의 정석 LONG, CONVICTION LONG 종목 동일비중 매수
2. 액티브 퀀트의 정석 발간 시 종목 변경
3. 다음분기 말일까지 후 리밸런싱
백테스트
'19년 6월말 처음 발간된 자료라 과거 데이터가 많은 상황은 아니다. 첫 번째 발간 이후 9개월 정도 미발간 한 공백이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발간된 20년 4월부터 백테스트를 한번 해보자.
백테스트 결과
200407~200427 보유종목
["삼성물산", "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셀트리온"]
200427~200707 보유종목
["한국전력", "LG생활건강", "아모레G", "GS건설", "한샘", "현대미포조선", "동국제강", "GS", "오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동아에스티"]
200707~200727 보유종목
["삼성SDI", "LG전자", "에코마케팅", "현대제철", "풍산", "동국제강", "세아베스틸", "SK이노베이션", "농심", "오뚜기", "콜마비앤에이치", "삼성화재", "현대해상", "키움증권"]
200727~201221 보유종목
["현대차", "기아", "코스맥스", "하나투어", "LG화학", "CJ제일제당", "농심", "콜마비앤에이치", "노바렉스", "KB금융", "신한지주"]
201221~210412 보유종목
["LG디스플레이", "펄어비스", "에코마케팅", "신세계인터내셔날", "하나투어", "대한항공", "금호석유", "SK이노베이션", "씨젠", "삼성증권", "키움증권"]
210412~210630 보유종목
["삼성전자", "LG전자", "유진테크", "신세계", "한전KPS", "LG화학", "POSCO", "한화솔루션", "금호석유", "효성첨단소재", "SK이노베이션", "롯데칠성", "디오", "한화생명"]
210630~210729 보유종목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호텔신라", "현대위아", "대한항공", "팬오션", "세아베스틸"]
210729~211001 보유종목
["삼성SDI", "일진머티리얼즈", "이녹스첨단소재", "GKL", "풍산", "SK이노베이션"]
약간의 누적수익률만 높을 뿐. 변동성, MinMax, MDD, 샤프지수 어떤 것도 벤치마킹 보다 우수한 퍼포먼스를 보이지 않았다. 이런 퍼포먼스라면 마음 편하게 지수 인덱스를 보유하는 것이 낫다. 원인을 추정해보자면 보유종목이 많아서 인 것 같아서 Conviction Long 종목을 제외하고 Long 종목만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검증해보았다.
(좌) Long only, (우) Long&Conviction Long 누적수익률 3%정도의 개선만 있을 뿐이었다.
결론
1. 이 전략은 백테스트 해본 것으로 만족하고 실행하지는 않는 것이 좋겠다.
2. 1년 6개월 기간 동안 코스피 대비 +11%, 코스닥 대비 +14% 초과이익 전략도 끌리지 않는다면, 나는 샤프지수 얼마의 전략을 원하고 있는가?
3. 공매도를 할 생각이 전혀 없지만 Long, Short 전략을 쓴다면 결과는 어떨까?
https://blog.naver.com/gurwjdz/222525737770
액티브 퀀트의 정석(1)
KTB투자증권의 김경훈 애널리스트의 '액티브 퀀트의 정석'이라는 리포트를 이제야 발견했다. ...
blog.naver.com
'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업이익 증가 저평가 포트폴리오(1) (0) 2021.09.30